이번 글의 주제는 그동안 글 쓰려고 벼르고 있던 주제가 아니라 다분히.. 급조된.. 것이긴 한데 그래도 언젠가 쓰려던 내용이었고, 지금이 그 글을 적기 괜찮은 타이밍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적어봅니다. (blog라는 게 web에 올리는 log이긴 한데.. 일기장이 되어가고 있군요.)
지난 밤에, 그러니까 지금이 6월 11일 23시인데 6월 11일 01시즈음에

Starcraft brood war 엔딩을 봤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스타크래프트라니! 이게 언제적 게임인데..할 수도 있지만, 당연히 엔딩을 처음 보는 건 아니며- 리마스터 버전으로 처음 보는 것 같습니다.
리마스터 조차 2017년에 나온 거니 이것도 늦은 것이긴 합니다.
엔딩을 보게 된 소감을 간단히 적자면..

1. 역시 저그는 S H (히드라리스크 생산 단축키)가 사기!
짱이에요.. 풀업 히드라로 못 깨는 캠페인 미션은 없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마지막 판의 세 종류의 적 세력 중 하나가 스파이더 마인과 탱크로 무장한 (Tlqkf)멩스크라서 무대뽀 히드라로는 답이 없는 상황이었는데 가디언,뮤탈,오버로드 잔뜩 끌고가서 소모전하며 장애물 치운 뒤에 다시 S H 치면서 히드라 웨이브 시원하게 지르니까 쭉 밀리는 게 스트레스가 풀리더군요. ^^

2. 전.. 스타크래프트에 재능이 없는 게 확실합니다.
그나마 마지막 판은 히드라 개사기 만능설에 힘입어 무척 잘 풀린 판이라서 손이 지쳐버리기 전에 클리어한 것인데도 평균 APM이 52가 나왔네요. 컨트롤하는 미션은 계속 움직여대며 제 최대 APM가 나오는데 그때도 100 조금 넘는 수준이더군요.
스타는 손 느리면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데 (이쪽 표현 빌려서) 저는 사람 아닌 듯.

3. 그리고, 엔 타로 태사다르(En Taro Tassadar)!
스타크래프트 캠페인은 아는 얘기를 또 봐도 가슴이 벅차네요..

예전에 해봤는데 리마스터에서 또 캠페인을 클리어한 이유 중 하나가, 이번에 예쁘게 한국어 번역이 되어서 스토리를 우리말로 볼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다시 해보면서 느끼는 거지만,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인 스타크래프트의 유닛 배경 설정에 불과한 캠페인이 이렇게 스토리가 멋지다니, 잘 나가던 때의 블리자드는 정말 위대한 회사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게다가 주요 대사의 우리말 더빙을, 그것도 스타2에서 이미 작업하셨던 성우분들이 그대로 역할 맡아서 해주셔서 더 몰입감이 컸습니다. 캠페인의 영웅들만 우리말 더빙이 있는 게 아니라 소소하게 스타2에서 이야~ 야근이다!..를 외쳤던 건설로봇, 부관부터 모두 우리말을 하죠. 블리자드가 큰 회사라서 역량이 되긴 하겠다만.. 스타2에서 겪었던 초호화 성우진들이 말해주는 스타1의 스토리라니 환상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클리어는 했다만 스토리를 이따금 다시 보려고

보너스 미션을 포함한 각 미션의 종료 직전에 저장해서.. 미션 시작/끝의 대화를 언제든 다시 볼 수 있는 상태입니다.

크게 의미는 없겠지만.. 플레이할 때 분기가 있는 브루드워 테란 5번째는 두가지 다 깼구요.
여담으로,
Ground Zero(번역명:핵폭발)은 앞 미션에서 피직스랩을 박살내고(=전투순양함 비활성화)
핵 맞으며 시작하는 미션이며 전투순양함 잔뜩 뽑아서 밀어버렸는데
Birds of War(번역명:전쟁의 새)는 앞 미션에서 뉴클리어 사일로를 박살내고(=핵 비활성화)
전투순양함에게 맞으며 시작하는 미션이니까 저는 전투순양함 안 쓰고 골리앗+탱크+유령으로 이기려고 했는데..
흠..
이기긴 이겼는데, 중간에 망쳐서 로드한 거 제외해도 클리어하며 뜬 플레이 시간이 3시간이었습니다. -0-
저 미션이 이번 캠페인 클리어 활동의 가장 큰 고난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왜 갑자기 20세기 게임을 지금 했냐면..

이런 거 보다가 끌려서였습니다.
(위에서 적은, “히드라 개사기, S H 사기”라는 얘기도 제 주장이 아니라 저 위의 레.종.최. 해설자께서 하신 말씀.. 참고로 저 분 주종족은 프로토스)
증거자료에서 눈치 채셨을 수 있는데, 저 분이 스타1 미션 하는 거 보고 재밌어 보여서 해본 것이었습니다.
최근 업로드 된 영상이 저그 캠페인 중간쯤이던데.. 저 분이 엔딩까지 모두 마치시기 전에 겨우 다 깼네요. ^^;
이 게임이 정말 대단하구나 싶은 게.. 스타크래프트는 1998년 게임이며 ‘옛날 PC게임’이라 말할 수준을 뛰어넘어서 이제 진심으로 민속놀이라고 해도 될 것 같은데, 아직도 인터넷 방송에서 이걸로 컨텐츠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 그걸 보고..) 게다가 그 컨텐츠의 질도 점점 좋아지면 좋아지지 후퇴하는 게 아닙니다.
前프로게이머 분들이 스타 방송하는 거야 그렇다 치는데 여캠들이 스타를 ‘익히며’ 스타를 주 컨텐츠로 인터넷 방송을 하기도 하고.. 거기서 티어와 팀, 생태계가 생기고.. 스폰 있는 개인대회, 팀대회가 생기고.. 이런 게 2020년대에 가능하다니 그저 놀랍습니다.
전 제대로 시청한 게 몇 달 안 되어서 – 여캠BJ 스타리그..라는 걸 본 지는 4개월쯤, youtube에서 보다가 아프리카 TV 가입해서 본 건 이제 한 달. – 정확한 역사는 모르지만 이런 붐이 생긴 게 몇 년 된 걸로 알고 있고 이제 여캠리그 상위권 선수들은 정말 선수라고 불러도 될 정도의 센스와 피지컬이 있더군요. 저 위의 캡쳐에 보이는 APM 보면 저게 취미생활의 영역에서 나올 숫자입니까.. 취미로 게임할 때의 플레이에 참고하기 위해 보려고 했는데 이미 제가 따라할 수 없는 게임들이기에 눈썩하위 티어를 찾아서 봐야하나 싶을 정도입니다.
이제 스타는 일종의 민속놀이이며 생활 주변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있는 문화이고 다른 게임에 빗대어 말할 수 없는 고유의 게임이 되었습니다.
스타2의 게임 중 대사가 생각나네요.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관전 컨텐츠야말로 ‘계속 멈추지 않으며 완벽을 향해 계속 변화하는’ 흐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Abathur : Make it great.
(아바투르 : 훌륭하게 만듦.)
Kerrigan: But not perfect?
(캐리건 : 완벽하게가 아니고?)
Abathur : Never perfect. Perfection goal that changes. Never stops moving. Can chase, cannot catch.
(아바투르 : 완벽은 없음. 완벽이라는 목표는 계속 변함. 멈추지 않음. 따라갈 수 있지만, 붙잡을 수 없음.)